달력

4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인공 지능의 역사를 알려면 여러가지를 알아야합니다. 재미있게 공부해봅시다.

인공 지능 역사관련 81개 단어로 표현된 이미지


통상 인공 지능의 역사를 꺼내면, 다트머스 회의(Dartmouth College worksho)을 언급하거나 앨런 튜링(Alan Mathison Turing)을 언급합니다. 저는 그 보다 이전에 전조로서, 우리 인류가 꿈꿔온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류의 오랜 꿈 중 하나는 사람을 닮은 무엇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인간을 닮은 기계를 추구하기 위해서, 사고와 이성의 철학적 관점, 자동화관점, 수학적 관점을 비롯한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는 하나씩 문제를 내고, 그 문제의 답을 해결해왔습니다. 수많은 질문과 고민의 역사가 있었습니다. 인간을 닮은 기계에 대해 고민은 기계의 발달과 인간의 지능이나 이성에 대한 구현 논리 연구가 같이 이루어지면서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철학적 발전, 수학적 발전, 그리고 기계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즉, 하드웨어적인 기계와 그 메커니즘(mechanism)의 발달과, 소프트웨어인 지능, 이성에 대한 논리구조를 파악하고 구현하는 쪽으로 발달된 것입니다. 미리 정해진 방식이 아닌 우리 인간들처럼 주변의 경헌으로부터 배우는 방법을 사용하는 자동화된 방법을 추구하여 왔습니다. 새들로부터 나는 법을 배워왔고, 예쁜 꼬마 선충을 모방한 로봇에 뉴런의 연결정보, 강도를 넣고 프로그래밍 하여 행동 모방하여 사람처럼 행동하게 했습니다.

저는 인공 지능의 역사를 영어 위키백과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신화에서부터 출발해보려 합니다. 우선 영어 위키백과에 기술된 내용을 번역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인공 지능 (AI)의 역사는 고대부터 장인(손으로 물건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에 의해 지능이나 의식을 부여받은 인공 존재에 대한 신화, 이야기 및 소문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현대 인공 지능 (AI)의 씨앗은 인간의 사고 과정을 상징의 기계적 조작으로 묘사하려는 고전 철학자들에 의해 심어졌습니다."


#1. 신화와 전설에 관하여 : 탈로스(Talos, 혹은 Talus, Talon) 이야기

탈로스(Talos)의 같은 이름이 있어 혼동하기 쉽습니다. 하나는 다이달로스(Daedalus: 크레타 섬(Crete)의 미궁을 만든 아테네(Athens)의 장인)의 조카로써, 발명의 재능을 시기한 다이달로스에게 살해된 탈로스(Talos)이고, 다른 하나는 크레타 섬(Crete)를 지키게 하기 위하여 헤파이스토스(Hephaestus: 불, 대장장이 일, 수공예를 담당하는 고대 그리스 신)가 만든 청동 인간인 탈로스(Talos)입니다. 이야기는 후자의 이야기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탈로스는 크레타 섬의 수호자 역할을 한 청동으로 만든 거인이었습니다. 그는 침략자들의 배에 바위를 던지고, 섬 주변을 매일 3번씩 순회를 했습니다. 차명-아폴로도루스(Pseudo-Apollodorus, 이름난 저자인 아폴로도로스의 이름을 빌려 자신의 글을 쓴 사람을 뜻함)의 비블리오테카(Bibliotheca, 전통적인 그리스 신화와 영웅적 전설의 요약서)에 따르면, 헤파이스토스는 사이클롭스(혹은 키클롭스, cyclops,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외눈박이 거인)의 도움으로 Talos를 만들어 미노스(크레타 섬의 왕)에게 선물로 오토마톤(automaton, 로봇 같은 사람이나 자동장치)을 선물했습니다.

Argonautica(아르고나우티카, 기원전 3세기에 Apollonius Rhodius가 쓴 그리스 서사시)에서 이아손( Jason, Iason: 금빛 양털(Golden Fleece)을 차지한 용사, 아르고선 선원들의 리더)과 아르고선 선원들(Argonauts)은 발 근처에 있는 단일 플러그를 통해 그를 물리 쳤습니다. 그의 몸에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이코르(ichor, 신들 혹은 불멸의 피인 몸속을 혈액처럼 흐른다는 영액) 수액이 흘러 나와 제거됨으로써, 그는 무생물이 되었습니다. (출처 : 영어 위키백과)"


좀 더 추가해서 이야기를 전개하면, 탈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나오는 해적과 침략자로부터 크레타 섬의 에우로페(Europa: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제우스(Zeus)의 사랑을 받은 페니키아(Phoenicia)의 왕녀)를 보호하기 위해 청동으로 만든 거대한 기계 장치였습니다. 그는 매일 세 번 섬의 해안을 돌았습니다. 그의 역할은 크레타 섬의 방어 병기로, 상륙하려는 선박이 보이면 바위를 들어서 던지고, 상륙한 적이 있다면 자기 몸을 뜨겁게 달군 후 상대방을 끌어안아 없애버렸다고 합니다. 그는 무적일 것 같지만, 사실 탈로스의 약점은 발뒤꿈치에 고정되어 있던 못으로, 이것은 머리부터 발뒷꿈치 까지 연결되어 있던 혈관의 밸브였습니다. 결국 아르고 호 원정대가 찾아와서 메데이아(Medea, Medeia :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마녀. 아르고 호 원정대를 이끌고 도착한 이아손에게 반해서 아버지인 콜키스의 왕 아이에테스를 배신하고 이아손이 황금양털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도와준 뒤 그와 결혼함)가 마법으로 잠재운 사이에 발뒤꿈치의 못을 뽑자 기능이 정지되었다고 합니다.(과다출혈 혹은 연료부족일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이런 신화를 작성한 고대 작가들은 탈로스를 인간의 ‘대체기계’ 정도가 아니라 ‘자기조절력’을 갖춘 지능형 로봇으로 상상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탈로스는 몸통 전체에 연결된 관 속에 있는 액체를 통해 작동하는 내부 메커니즘을 소유하기 때문입니다.

탈로스의 죽음(출처 : 위키백과)
케임브리지에 있는 Michael Ayrton의 조각품 탈로스


현대 로봇과 탈로스 😁

Copyright 2021. 『오드리공주될뻔 블로거』  All rights reserved.

Posted by 오드리공주될뻔
|

한마디 정의 : 사람과 같은 지능과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의 지능


인공 지능은 일반적으로 약한 인공 지능(Weak AI, 혹은 약 인공 지능)과 강한 인공 지능(Strong AI, 혹은 강 인공 지능)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위키 백과에서 'Strong' AI는 일반적으로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공 일반 지능)로 분류되고 '자연' 지능을 모방하려는 시도를 ABI(Artificial Biological Intelligence, 인공 생물 지능)라고 합니다. 선도적인 AI 교과서에서는 이 분야를 " intelligent agents(지능형 에이전트) "에 대한 연구로 정의(환경을 인식하고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 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하는 조치를 취하는 모든 장치)합니다.
강한 인공 지능은 처음부터 인간의 지성 전체를 컴퓨터의 정보처리능력으로 구현했거나 구현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 것입니다. 결국 강한 인공 지능은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 인간보다 몇 백배 이상 뛰어난 지능을 가진 경우는 인공 일반 지능이 진화를 한 상태를 뜻하는 초 지능이라고도 합니다.

반면, 약한 인공 지능은 인간의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기존에 인간의 지능으로만 가능하던 작업의 일부를 컴퓨터로 수행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현재의 기술발전 수준에서 만들 수 있는 인공 지능은 대부분 약한 인공 지능의 개념에 포함됩니다.

강한 인공 지능과 약한 인공 지능

Copyright 2021. 『오드리공주될뻔 블로거』  All rights reserved.

Posted by 오드리공주될뻔
|

한마디로 하면, 예전의 인공 지능 영역이 더 이상 인공 지능적으로 느껴지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AI Effect는 인공 지능관련 현상으로,  예전에 인공지능이라고 불렀지만 실용화되어 하나의 분야를 구성하면서 이제 더 이상 인공지능이라고 불리지 않게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 원리를 알아버리면 "이것은 지능이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인공 지능의 정의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합니다. 우리는 인공지능을 미래 기술로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의 인공지능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영역이 이제는 더 이상 지능적으로 느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이미 실용화된 음성인식, 기계번역이나 검색엔진 등은 점차적으로 더 이상 고급스러운 지능적 기능으로 느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인공 지능으로 구현된 기술이라도 실용화되어 하나의 분야를 구성하면 이제 더 이상 우리는 인공지능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어 위키백과(Wikipedia)에서는 AI Effect(혹은 AI 효과)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The AI effect occurs when onlookers discount the behavior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by arguing that it is not real intelligence. (중략)  「The AI effect」 tries to redefine AI to mean: AI is anything that has not been done yet”

이를 해석하면, AI 효과는 구경꾼이 인공 지능 프로그램의 행위가 실제 지능이 아니라고 주장하여 무시할 때 발생합니다. AI 효과는 AI를 “AI는 아직 수행되지 않은 모든 것”이라고 다시 정의하려고 합니다.
미국의 인지 과학 분야의 학자인 Douglas Richard HofstadterAI 효과를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AI는 아직 완료되지 않은 어떠한 것입니다."

 

Copyright 2021. 『오드리공주될뻔 블로거』  All rights reserved.

Posted by 오드리공주될뻔
|

한마디로 인공지능에 대한 통일된 정의는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인공 지능의 정의


우선 한국어 위키백과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와있습니다.

"인공 지능(人工知能, 영어: 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논증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인공적으로 구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이를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이다. 하나의 인프라 기술이기도 하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갖고 있는 지능 즉, natural intelligence와는 다른 개념이다.

지능을 갖고 있는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이며, 인간의 지능을 기계 등에 인공적으로 시연(구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용 컴퓨터에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이 용어는 또한 그와 같은 지능을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이나 실현 가능성 등을 연구하는 과학 분야를 지칭하기도 한다." [출처: ko.wikipedia.org]


영문위키에서는 Artificial intelligence은 이렇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intelligence demonstrated by machines, unlike the natural intelligence displayed by humans and animals, which involves consciousness and emotionality. [출처: en.wikipedia.org]"

즉, 의식과 감정을 포함하는 인간과 동물이 보여주는 자연지능과 달리 기계가 보여주는 지능을 말하는 것입니다.  일상적인 대화에서 "인공 지능"이라는 용어는 "학습(learning)" 및 "문제 해결(problem solving)"과 같이 인간이 인간의 마음과 연관시키는 "인지(cognitive)"기능을 모방하는 기계 (또는 컴퓨터, machines or computers)를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Stuart J. Russell과 Peter Norvig이 저술한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AIMA)"은 인공 지능에 관한 대학 교과서이며, 전 세계 1400개 이상의 대학에서 사용되고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인공 지능 교과서"로 불립니다. 인공 지능 분야의 표준 교과서로 간주됩니다. 

여기서 인공 지능에 대해서 사고 과정(thought process)과 추론(reasoning)에 관련된 것과 행동방식(behavior)에 관한 것으로 구분하여 네 가지 범주로 인공 지능의 정의를 분류해놓았습니다.

4가지 범주에 의한 인공지능 정의의 분류

이 모든 것을 지금 당장 이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조금씩 천천히 인공 지능에 대해 가까이 다가가도록 하겠습니다.


인공지능 요리하기

Copyright 2021. 『오드리공주될뻔 블로거』  All rights reserved.

Posted by 오드리공주될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