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유쾌한 반란

딱딱한 코드에 웃음을 입히다. 인공지능을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블로그.

YouTube 자세히보기

인공지능(AI) 83

헵 이론(헵의 규칙, 헵의 학습 규칙, 헵의 가정, 세포 조립 이론)

우리는 이전글에서 인공지능 역사에서 1950년 이전의 인간과 대결하는 인공지능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체크된 영역은 해당 주제에 대해 본 블로그에 게시된 상세 글이 이미 있는 경우입니다. 이번 글에서 다루는 헵 이론(Hebbian theory)을 다루면 관련 내용을 전부 다루게 됩니다. 헵 이론(Hebbian theory)은 Hebb의 규칙(Hebb's rule), Hebb의 가정(Hebb's postulate) 및 세포 조립 이론(cell assembly theory)이라고도 합니다. 헵 이론은 캐나다의 심리학자인 도널드 올딩 헵(Donald Olding Hebb, 1904년 7월 22일 ~ 1985년 8월 20일)이 1949년 그의 저서 "The Organization of Behav..

게임 이론

이번 글에서는 게임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고, 인공지능에서 게임이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 분야는 우리의 현실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노벨경제학상의 “단골손님”이기도 합니다. 지금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게임 이론은 사회 과학, 특히 경제학에서 활용되는 응용 수학의 한 분야이며, 생물학, 정치학, 컴퓨터 공학, 철학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우선 사전적 의미로 놀이로써 게임은 규칙을 정해 놓고 승부를 겨루는 것을 말합니다. 경제용어로써의 게임이란 용어도 있는데, 이는 참가자들이 상대방의 행동이나 반응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결정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두 용어는 전자는 즐거움을 주는 행위가 목적이고, 후자는 결과를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목적으로 개념적으로 서..

인공 뉴런(2/2)

#2. 맥컬럭-피츠 모델 : 최초의 인공 뉴런 모델 이와같은 생물학적 뉴런의 작동원리를 기계에 접목한 최초의 인공 뉴런은 1943년 워렌 스터기스 맥컬록(워런 맥컬럭, 워런 멕컬로치, 혹은 워런 매컬럭으로도 표기)와 월터 피츠(Walter Pitts)가 처음 제안한 TLU(Threshold Logic Unit, 임계논리활성화 함수) 또는 Linear Threshold Unit(선형 임계값 게이트)이었습니다. 그들은 인간의 뇌를 닮은 기계회로를 설계합니다. 이 모델을 맥컬럭-피츠 모델(혹은 맥컬럭-피츠 뉴런, 혹은 맥컬럭-피츠 신경모형, McCulloch-Pitts Model 줄여서 MCP 모델)이라고도합니다. 그들은 인간의 두뇌를 on이나 off 상태를 나타내는 이진법 논리모델의 결합으로 설명했습니다. ..

인공 뉴런(1/2)

#1. 생물학적 뉴런의 작동 원리 여러분들은 인공지능을 공부하기 이전부터 이런 생각 안 해보셨나요? 인간의 두뇌를 닮은 컴퓨터를 만들면 편하겠다. 인공지능의 초기모델들이 바로 인간의 뇌의 작동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나옵니다. 바로 인공 뉴런(artificial neuron), 인공두뇌(artificial brain), 전자두뇌(electronic brain)에 대한 모델입니다. 우선 비슷한 용어들이 많이 나와서 사전과 위키백과를 중심으로 개념정리부터하고 들어가겠습니다. 전자두뇌 : electronic brain. (사전) 전자를 이용한 높은 정밀도의 기계류에서 그것을 조작하는 컴퓨터 따위의 중추. 계산이나 논리적 판단 따위의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뇌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1950년대 퍼셉트론이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