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유쾌한 반란

딱딱한 코드에 웃음을 입히다. 인공지능을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블로그.

YouTube 자세히보기

인공지능(AI)/인공지능 접근 방법

인공 뉴런(2/2)

오드리공주될뻔 2021. 3. 7. 21:00

#2. 맥컬럭-피츠 모델 : 최초의 인공 뉴런 모델

이와같은 생물학적 뉴런의 작동원리를 기계에 접목한 최초의 인공 뉴런은 1943년 워렌 스터기스 맥컬록(워런 맥컬럭, 워런 멕컬로치, 혹은 워런 매컬럭으로도 표기)와 월터 피츠(Walter Pitts)가 처음 제안한 TLU(Threshold Logic Unit, 임계논리활성화 함수) 또는 Linear Threshold Unit(선형 임계값 게이트)이었습니다. 그들은 인간의 뇌를 닮은 기계회로를 설계합니다. 이 모델을 맥컬럭-피츠 모델(혹은 맥컬럭-피츠 뉴런, 혹은 맥컬럭-피츠 신경모형, McCulloch-Pitts Model 줄여서 MCP 모델)이라고도합니다. 그들은 인간의 두뇌를 on이나 off 상태를 나타내는 이진법 논리모델의 결합으로 설명했습니다.

 

워렌 스터기스 맥컬록(Warren Sturgis McCulloch, 1898년 11월 16일 ~ 1969년 9월 24일)은 미국의 신경 생리학자이자 사이버네틱스 전문가로 특정 뇌 이론의 기초와 사이버네틱스 운동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월터 피츠(Walter Harry Pitts, Jr. : 1923년 ~ 1969년)는 컴퓨터 신경 과학 분야에서 일한 논리 학자였습니다. 월터 피츠의 일생은 영화 "Good Will Hunting(1997)"의 주인공 천재 청년의 일생과 내용이 유사합니다. MIT 청소부가 수학과 교수가 낸 교실 밖 복도에 난해한 문제를 풀면서 전개되는 이야기였습니다.

Warren Sturgis McCulloch
Walter Harry Pitts, Jr (오른쪽, 출처 : 영어 위키백과)

 

월터 피츠는 미국의 북부 도시 디트로이트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서, 아버지에게 학대당하고, 동네 불량배에게 놀림 받는 등의 많은 괴롭힘을 받았습니다. 1935년, 그가 12살이었을 때 피츠는 자신을 괴롭히던 동네 불량배들을 피해 그 지역 도서관에 숨었고, 거기서 책 한 권을 집어 들어 읽기 시작했는데, 이 책이 바로 유명학 수학서인  "Principia Mathematica(수학 원리)"입니다. 월터 피츠는 3일 동안 도서관에서 거의 2,000페이지에 가까운 책의 내용을 전부 읽고, 몇 가지 오류를 발견했다.  책의 저자가 이 내용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 피츠는, 저자 러셀에게 오류를 상세하게 적어 편지를 보냈습니다. 여기서 인연이 되어,  어찌어찌해서 결국 신경과학자 워렌 맥컬록까지 만나게 됩니다. 피츠가 청소와 허드렛일을 하며 떠돌이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된 워렌 맥컬록은 자기 집에서 살 수 있도록 배려해줍니다.

그렇게 해서 두사람이 가까워지고, 결국 두 사람은 1943년에, 뉴런의 작용을 0과 1로 이루어진 2진법 논리모델로 설명하는 논문 ""A Logical Calculus of the Ideas Immanent in Nervous Activity(신경 활동에  내재된 아이디어의 논리적 미적분)"입니다.  이 논문은 인간의 생리학적인 신경망의 첫 번째 수학적 모델을 제안한 것 입니다. 이 모델의 단위인 간단하게 형식화된 인공 뉴런은 여전히 ​​신경망 분야에서 참조 표준입니다. 종종 이 모델을 맥컬럭-피츠 모델(줄여서 MCP 모델), 혹은 맥컬럭-피츠 뉴런(McCulloch–Pitts neuron)이라고합니다 . 각 신경세포(neuron)의 기능은 매우 단순하나, 이들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는 신경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한 논문입니다.

신경 활동에 내재된 아이디어의 논리적 미적분(1943)

 

논문 본문 첫페이지의 붉은 색으로 테두리친 요약을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신경 활동의 '전부 아니면 전무 (All-or-Nothing)' 적인 특성 때문에 신경계의 일과 그들 사이의 관계들은 명제논리(Propositional logic)로 취급된다. 모든 망의 행동은 이러한 관점에서 기술될 수 있다. ...중략... 어떠한 조건들을 만족시키려는 논리적 표현에 대하여, 우리는 그것이 기술하는 방법대로 행동하는 망을 찾을 수 있다." 

명제논리로 나타낸 맥컬록-피츠 모델

 

명제논리로 나타낸 맥컬록-피츠 모델은 출력 펄스를 보내기 위해 각 뉴런은 두 개의 흥분 입력을 받아야 하며 억제 입력은 없어야 하는 구조입니다. 후프로 끝나는 선은 억제 연결을 나타냅니다.  상기 이미지에서 점으로 끝나는 선은 흥분 연결을 나타냅니다. 뉴런의 활성화 비활성화에 따른 각종 연산을 처리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훗날 마빈 민스키는(Marvin Minsky)는 맥컬록-피츠 모델을 사용하여 AND, OR, NOT에 대한 세 가지 부울함수를 자신의 표기법으로 재해석하여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MCP의 마빈 민스키 표기법

 

그들은 뉴런의 오퍼레이션을 지배하는 5개의 가정을 하였고, 명제논리에 대해서는 논문 본문에 서술하였습니다. 5가지 가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뉴런은 활성화되거나 혹은 활성화되지 않은 2 가지 상태이다. 즉, 뉴런의 활성화는 all-or-none 프로세스이다. 
(The activity of the neuron is an “all-or-none” process.)

2. 어떤 뉴런을 흥분되게 (excited) 하려면 2개 이상의 고정된 수의 시냅스가 일정한 시간내에 활성화 (activated) 되어야 한다. 
(A certain fixed number of synapses must be excited within the period of latent addition in order to excite a neuron at any time, and this number is independent of previous activity and position on the neuron.)

3. 신경 시스템에서 유일하게 의미있는 시간지연 (delay) 은 시냅스에서의 지연 (synaptic delay) 이다. 
(The only significant delay within the nervous sytem is synaptic delay.)

4. 어떠한 억제적인 (inhibitory) 시냅스는 그 시각의 뉴런의 활성화 (activation) 를 절대적으로 방지한다. 
(The activity of any inhibitory synapse absolutely prevents excitation of the neuron at that time.)

5. 신경망의 구조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The structure of the net does not change with time.)

 

맥컬럭과 피츠는 제안한 인공 뉴런 모형이 적절히 학습도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맥컬럭-피츠 모델과 같은 단순한 인공 뉴런은 하나 이상의 신경 생리 학적 관찰을 반영하기위한 것이기 때문에 "caricature models(희화한 모델)"이라고도합니다. 또한 논문에서는 임계 값(threshold)에 의해서 처리하는 수학 알고리즘에 기초한 연산 모델을 만들었는데, 이 때문에 임계논리활성화 함수(Threshold Logic Unit, TLU) 또는 선형 임계값 게이트(linear threshold gate)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TLU는 맥컬럭-피츠 모델의 특별한 타입의 하나입니다.

임계치를 넘는 뉴런에 대한 처리방법

이 알고리즘은 뇌의 생물학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 접근 방식으로 향후 인공지능에서 신경망을 적용하는 데 기본적인 개념이 됩니다.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 다음과 같은 산식입니다.

인공 뉴런의 기본 구조 [출처 : 영어 위키백과]
결과치

한마디로 해석하면, k번째 뉴런의 출력(output)은 각각 입력과 그에 따른 가중치를 합친 값을 더하여, 그를 임계 함수화한 것입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생물학적 뉴런과 마찬가지로 뉴런에 달려있는 각각의 수상돌기가 시냅스를 통해 자극을 전달받으면 그 값들의 합이 일정 조건이 되면 활성화되어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게되는 구조입니다.

 

인공 뉴런은 사용되는 특정 모델에 따라 영어로는 "semilinear unit", "Nv neuron", "binary neuron", "linear threshold function", "McCulloch–Pitts(MCP) neuron"으로 달리 이름을 불리웁니다. 

 

월터 피츠는 결혼하지 않았습니다. 월터 피츠는 또한 그의 이름이 공개적으로 공개되는 것을 거부하는 괴짜로 묘사되었습니다. 그는 MIT에서 고급 학위나 권위있는 모든 제안을 거부했습니다. 월터 피츠는 1969년에 식도 정맥류 출혈로 사망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간경변 및 알코올 중독과 관련된 질환입니다. 학대와 가난에서도 천재성을 발휘한 인물이 월터 피츠입니다.

 

1943년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15년 후에는 프랭크 로젠블랫(Frank Rosenblatt)의 퍼셉트론(1957년)이 나옵니다. 오늘날 각광받고 있는 딥러닝의 기원은 퍼셉트론과 함께 최초의 인공 뉴런의 시도인 맥컬럭-피츠 모델도 같이 취급하고 있습니다. 

물론 중간에 여러 연구가 있었지만, 크게 보면 오늘의 날의 딥 러닝은 맥컬럭-피츠 모델 --> 헵의규칙-->퍼셉트론 --> 인공 신경망 --> 딥 러닝 순으로 발전한 것입니다.

 

Copyright 2021. 『오드리공주될뻔 블로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