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튼을 눌러 추천받아보세요

인공지능의 유쾌한 반란

딱딱한 코드에 웃음을 입히다. 인공지능을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는 블로그.

YouTube 자세히보기

2021/02 34

#2. AI와 인간의 대결(7) : 체스도 체커도 아닌 또 다른 게임

달하면 뭐가 떠오르시죠 ? 오늘은 달을 천체망원경으로 자세히 관찰하면 달 표면의 분화구가 보이는데, 이 분화구의 여러 이름 중에 하나인 "Condon"에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지능적인 체스/체커 게임과 인간과의 대결이외도 또 다른 게임분야에서 사람과 대결하는 게임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에 대한 구현 노력이 있었습니다. 바로 에드워드 콘던(Edward Uhler Condon : 1902년 ~ 1974년)의 님 게임(Nim Game) 전용 기계인 니마트론(Nimatron)입니다. 달 분화구의 이름 중에도 "Condon"이 있는데 이는 바로 에드워드 콘던(Edward Uhler Condon)의 이름 따서 명명한 것입니다. 달의 표면은 수많은 분화구가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이 충격으로 말미암아 형성된 것입니다. 아래..

#2. AI와 인간의 대결(6) : 수학 원리의 증명

#6. 자동화된 추론 논리 이론가 (Logic Theorist) 아서 사무엘(혹은 아서 새뮤얼, Arthur Lee Samuel)이 체커 프로그램을 시연하던 시기에 또 하나의 첫 번째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탄생하고 있었습니다. 바로 게임분야가 아닌, 수학 원리의 증명을 인간과 같이 할 수 있을지를 검토한 "논리이론가 (LT, Logic Theorist 혹은 Logic Theory Machine) "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1956년도에 첫 시연을 가졌습니다. 논리 이론가는 앨런 뉴얼(혹은 앨런 뉴웰, Allen Newell : 1927년 ~ 1992년), 허버트 알렉산더 사이먼(Herbert A. SimonHerbert Alexander Simon : 1916년 ~ 2001년) 및 클리프 쇼(John Cli..

중국어 방(중국인 방, 중국어 방 논증, Chinese room or Chinese room argument)

인공지능을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것은 “지능”을 정의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난번 앨런 튜링이 기계가 지능이 있다고 판단하는 방법으로 튜링 테스트(Turing Test)를 소개해드렸는데, 오늘은 그에 대한 반박 논리로 나온 “중국어 방(중국인 방 혹은 중국어 방 논증, Chinese room or Chinese room argument)”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튜링 테스트는 지난번 글인 "#2. 새로 나오는 50파운드 영국 지폐(1)"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한마디로 기계가 사람의 행동을 모방해서 사람과 같은 행동과 답을 낸다고 과연 지능을 판별 할 수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일종의 철학적 주장입니다. 중국어 방은 존 설(John Rogers Searle, 1932년~ )이 튜링 테스트로 ..